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pitab

[통계] 상대위험도(RR)와 오즈비(OR)의 신뢰구간 (with R) 이전 포스팅: 오즈와 상대위험도의 개념https://choiwonjin.tistory.com/43 [통계] 오즈(odds), 상대위험도(RR) + 유의성 검정 (with R)연관성 분석두 개의 변수(요인과 결과)가 모두 명목형이라면, 연관성 측도는 어떤 것이 있을까?ex) 치료제의 종류와 질병의 발병 여부의 연관성소량의 아스피린 복용이 심근경색의 위험을 줄이choiwonjin.tistory.com상대위험도와 오즈비는 단순한 점 추정치이다.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신뢰구간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런데, 상대위험도와 오즈비는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하지만 자연 로그를 취한 표본 상대위험도와 표본 오즈비가 근사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이용하여 신뢰구간을 구할 수 있다(중심극한정리 참고).위험요인에 .. 더보기
[통계] 오즈(odds), 상대위험도(RR) + 유의성 검정 (with R) 연관성 분석두 개의 변수(요인과 결과)가 모두 명목형이라면, 연관성 측도는 어떤 것이 있을까?ex) 치료제의 종류와 질병의 발병 여부의 연관성소량의 아스피린 복용이 심근경색의 위험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총 22,071명의 남성을 두 그룹으로 나눈 후, 한 그룹에는 아스피린을 복용시키고 다른 그룹에는 플라시보를 복용하게 한 후 약60개월 간 관찰하여 심근경색을 일으키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상대위험도(Relative Risk; RR)위험요인에 노출 시 사건발생확률 / 위험요인에 미노출 시 사건발생확률 =  $\frac{n_{11}}{n_{1+}}$ / $\frac{n_{21}}{n_{2+}}$ $\Rightarrow$ 아스피린 복용 시 심근경색 발병 확률 / 플라시보 복용 시 심근경색 발.. 더보기

반응형